작성일: 2025년 7월 3일
돈이 안 모이는 이유, 정말 수입이 적어서일까?
많은 사람들이 “돈이 없어서 재테크는 나중에”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돈을 모으는 습관과 루틴이 없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적은 돈이라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투자하는 습관을 만들면, 수입이 적어도 충분히 자산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1만 원~10만 원 사이의 금액으로 실천 가능한 재테크 루틴을 소개합니다. 복잡한 금융 지식 없이도 누구나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소액 재테크 루틴을 만들기 위한 3가지 전제 조건
- 1. 자동화가 핵심: 매번 결심하지 않고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스템 만들기
- 2. 실현 가능한 금액: 생활에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금액 설정
- 3. 습관화된 반복: 작아도 매달 반복하면 ‘재테크 체력’이 길러짐
STEP 1. 자동이체 적금 → 투자 루틴으로 전환
많은 분들이 자동이체로 적금을 들지만, 이자율이 낮아 실질 수익률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는 적금보다는 CMA 계좌 + ETF 분할 매수로 전환할 때입니다.
예시 루틴:
월급일 → 3만 원 자동이체 → CMA 통장
월 1회 → CMA 잔고에서 ETF 자동매수
STEP 2. 커피값을 지식 소비로 전환
평균 커피값 5,000원 × 주 3회 = 월 60,000원 이상이 지출됩니다. 이 금액 중 일부만 줄여도 책 1권, 유료 강의 1개, 재테크 클래스 수강이 가능합니다.
한 달에 1권씩 책을 읽는 루틴을 만들면, 장기적으로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금융 감각이 생깁니다.
STEP 3. 소액 주식 or ETF 자동 매수 설정
카카오페이증권, 토스증권 등에서는 1,000원 단위로 주식이나 ETF를 자동 매수할 수 있습니다. 매달 고정 금액을 우량 자산에 투자하는 루틴은 시간에 따라 복리 효과를 가져옵니다.
추천 ETF 예시:
- KODEX 200 (국내 대표지수)
- TIGER 미국S&P500 (글로벌 분산 투자)
STEP 4. 사용하지 않는 물건 팔기 → 시드머니 확보
중고 플랫폼(번개장터, 당근마켓 등)을 활용해 집에 있는 물건을 정리하고, 수익금은 투자 전용 통장으로 보내세요. 매달 1~2건만 팔아도 수익 + 공간 정리 + 루틴화가 가능합니다.
STEP 5. 1일 1기록: 지출일기 또는 투자 일지 작성
돈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지 못하면, 아무리 벌어도 모으기 어렵습니다. 하루 5분, 간단한 지출 일기 또는 투자 메모를 작성해보세요. 소비를 인식하게 되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한 달 루틴 정리 예시
- 매월 1일: 투자 자금 자동이체
- 매주 1회: 투자 뉴스 읽기 + ETF 소액 매수
- 매월 15일: 중고 물품 1건 이상 등록
- 매일: 1줄 지출/투자 일지 작성
이처럼 소액이더라도 시스템화된 루틴을 만들면, 생활이 재테크로 전환됩니다.
마무리: 금액이 아니라 습관이 자산을 만든다
재테크는 '얼마를 투자했느냐'보다 '어떻게 지속했느냐'가 중요합니다. 단 1만 원이라도 꾸준히, 자동으로, 기록하며 관리하면 분명히 변화가 생깁니다.
오늘이 바로 당신의 첫 루틴을 만드는 날입니다.